전기차 4

폐배터리 블랙매스와 블랙파우더 톤당 단가

블랙매스는 배터리의 셀을 파·분쇄한 가루에 양극재와 음극재가 혼재된 것. 블랙 파우더는 알루미늄박과 양극재가 함유된 가루. (블랙파우더는 리튬이온 배터리 스크랩을 파쇄하고 선별 채취한 검은색 분말로, 니켈·리튬·코발트·망간 등을 함유) (블랙 파우더의 희소금속 함량은 배터리 종류, 배터리 사용 기간, 배터리 충전 횟수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리튬 함량은 10~20%, 니켈 함량은 20~30%, 코발트 함량은 10~20%, 망간 함량은 20~30% 정도다.) (예를들어: 한 달에 약 2000톤의 배터리를 블랙 파우더로 만들면 1000톤 정도이고, 추출되는 니켈·리튬·코발트·망간은 월 360톤 정도임) (전기차 1대에서 나오는 420kg짜리 배터리 팩 1개는 305kg의 모듈과 90kg의 케이스, ..

불화리튬, 탄산리튬, 수산화리튬 구분

불화리튬, 탄산리튬, 수산화리튬은 모두 리튬의 화합물이지만, 화학적 구조와 특성이 다릅니다. 불화리튬은 리튬과 플루오린으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화학식은 LiF입니다. 무색의 결정체로, 녹는점은 848°C, 끓는점은 1600°C입니다.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용액은 약한 염기성을 띱니다. 불화리튬은 유리, 세라믹, 전해액, 윤활제 등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탄산리튬은 리튬과 탄소,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화학식은 Li2CO3입니다. 백색의 가루로, 녹는점은 723°C, 끓는점은 1400°C입니다. 물에 잘 녹으며, 용액은 약한 염기성을 띱니다. 탄산리튬은 리튬화합물 중 가장 많이 생산되는 종류로, 리튬이온 배터리 양극재, 유리, 세라믹, 세제 등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수산화리튬은 리튬과 수소, 산소로 이..

리튬이온 배터리의 양극재(전구체 구조)

리튬이온 배터리의 양극재는 크게 전구체와 양극활물질로 구성됩니다. 전구체는 양극활물질의 원료가 되는 물질로, 니켈, 코발트, 망가니즈,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주성분입니다. 전구체는 양극재의 성능과 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전구체의 품질이 양극재의 품질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구체의 제조방법은 크게 공침법, 용융법, 건식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공침법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구체 제조방법입니다. 공침법은 금속 용액에 착화제를 첨가하여 금속 이온을 침전시켜 전구체를 제조하는 방법입니다. 공침법은 공정 단순화, 대량생산에 적합, 원가 경쟁력 우수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용융법은 금속을 용융시켜 전구체를 제조하는 방법입니다. 용융법은 공침법에 비해 반응성이 우수하여 고품질의 전구체를 제조..

폐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기술(습식건식)

폐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기술 폐배터리는 전기차, 스마트폰, 노트북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2차전지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폐배터리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희귀금속인 리튬, 니켈, 코발트 등을 함유하고 있어, 이를 재활용하면 자원 순환 및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폐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기술은 크게 재사용과 재활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재사용은 폐배터리를 분해하지 않고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재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재사용은 폐배터리의 성능이 아직 충분히 높을 때 사용됩니다. 재활용은 폐배터리를 분해하여 그 속에서 니켈, 리튬 등의 소재를 추출해 새 배터리의 소재로 다시 활용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재활용은 폐배터리의 성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