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최신 기술 트렌드 (2024년 3월)
1. 고성능 배터리 개발
- 전고체 배터리: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 대비 높은 에너지 밀도, 안전성, 빠른 충전 속도를 제공하며, 2025년 시범 양산, 2030년 본격 양산 예상
- 리튬-황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 대비 5~10배 높은 에너지 밀도 가능성, 상용화 기술 개발 활발히 진행 중
- 나트륨 이온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 대비 저렴한 생산 비용, 풍부한 자원 활용 가능, 상용화 단계 진입
2. 안전성 강화
- 열 폭주 방지 기술: 배터리 과열 및 발화 위험 감소, 차세대 배터리 필수 기술로 주목
- 고성능 분리막 개발: 배터리 내부 단락 방지, 안전성 향상
3. 친환경 배터리 개발
-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폐배터리 자원 재활용, 환경 오염 감소
- 지속가능한 소재 개발: 희귀 광물 사용 줄이고 친환경 소재 개발
4. 배터리 관리 시스템 (BMS) 고도화
- 인공지능 기반 BMS: 배터리 상태 실시간 예측, 수명 연장, 안전성 향상
- 클라우드 기반 BMS: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및 분석, 최적화된 배터리 관리
5. 배터리 생산 기술 자동화 및 스마트화
- 인공지능 기반 생산 공정 최적화: 생산 효율 향상, 불량률 감소
- 디지털 트윈 기술 활용: 생산 공정 시뮬레이션, 생산 문제 해결
6. 차세대 배터리 응용 분야 확대
- 전기차: 주행거리 연장, 충전 속도 단축
- 에너지 저장 시스템 (ESS): 재생 에너지 저장, 송배전 효율 향상
- 웨어러블 기기: 소형, 고성능 배터리 개발
- 로봇 및 드론: 고성능, 장수명 배터리 개발
7. 국내 배터리 산업 동향
- 정부 지원 확대: 차세대 배터리 개발 및 생산 시설 투자 확대
- 기업 투자 증가: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 경쟁 심화
- 국제 협력 강화: 해외 기업 및 연구기관과 협력
8. 시장 전망
- 전 세계 배터리 시장 규모: 2023년 1,400억 달러에서 2030년 4,000억 달러 이상 성장 예상
- 차세대 배터리 시장: 2025년부터 본격적인 성장 예상
[B트렌드] 2023년 배터리 시장을 전망하는 키워드 7 - 인더스트리뉴스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2022년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산업 각 분야의 시장이 경직된 가운데 유독 배터리 산업만 호황을 누렸다. 특히, 전기차 판매량 증가에 따라 핵심부품인 이차전지 시
www.industrynews.co.kr
[르포]배터리·충전기술 한자리에…'인터배터리·EV트렌드' 개막 - 매일일보
매일일보 = 박지성 기자 | 전기차(EV) 배터리부터 충전기술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인터배터리·EV트렌드코리아\'가 막을 올렸다. 두 박람회는 앞으로 다가올 전동화 시대에 초점을 맞춰 올해
www.m-i.kr
전고체 배터리 최신 동향 (2024년)
1. 기술 개발 가속화:
- 정부 지원 확대: 주요 국가들이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 기업 투자 증가: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국내 기업들이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있습니다.
- 연구개발 활발: 전 세계적으로 전고체 배터리 관련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2. 주요 기술 개발 동향:
- 고체 전해질 개발: 높은 이온 전도도, 안정성, 가공성을 갖춘 고체 전해질 개발이 중요합니다.
- 충방전 효율 향상: 충방전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는 기술 개발이 중요합니다.
- 생산 공정 개선: 대량 생산을 위한 저렴하고 효율적인 생산 공정 개발이 중요합니다.
3. 주요 기업 및 연구기관의 동향:
- 삼성SDI: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 목표로 개발 중. 2025년 시제품 출시 예정.
- LG에너지솔루션: 2026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 목표로 개발 중.
- SK온: 2028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 목표로 개발 중.
- 포스코: 전고체 배터리 양산 기술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센터 설립.
- 현대자동차: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 및 투자 확대.
4. 시장 전망:
- 전 세계 전고체 배터리 시장 규모: 2023년 6,160만 달러에서 2027년 약 4억 8,250만 달러, 2030년 약 1,200억 달러 이상 성장 예상.
- 차세대 배터리 시장: 2025년부터 본격적인 성장 예상.
5.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과제:
- 기술적 과제: 고체 전해질의 안정성, 충방전 효율, 생산 공정 등 기술적 문제 해결 필요.
- 비용 문제: 현재 리튬 이온 배터리 대비 생산 비용이 높음.
- 안전성 문제: 고체 전해질의 안전성 검증 필요.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44618
'인터배터리 2024' 역대 최대 규모 개막, 배터리3사 차세대 기술 앞다퉈 공개
[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최대 규모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4'가 막을 올렷다. 국내 배터리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와 ..
www.businesspost.co.kr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168509?type=journalists
[인터배터리24 결산] ① 셀투팩→전고체까지…K-배터리 희망 찬가
지난 6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최대 이차전지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4'는 배터리 성장 둔화 속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소통의 장'이었다. 배터리 셀 기업들은 전고체 배터리 양
n.news.naver.com
'AI.4차 산업과 5G 기술 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시티 AI , 로봇, 드론, 관제, 감시,진단 기술 (0) | 2024.03.30 |
---|---|
리튬 황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 비교 (1) | 2024.03.26 |
GPU.HBM 파운드리/ NCF 비전도성 접착 필름 (0) | 2024.03.02 |
불화리튬, 탄산리튬, 수산화리튬 구분 (0) | 2024.01.18 |
리튬이온배터리 셀 제조 공정.주요장비 (1) | 2024.01.02 |